
청년이라면 지금 당장 신청할 수 있는 정부 지원금, 알고 계신가요? 2024년에도 다양한 제도들이 새롭게 등장하거나 강화되면서 청년을 위한 실질적인 혜택이 대폭 확대되고 있습니다.

"복잡해서 못 알아보겠다"는 분들을 위해,
지금 바로 신청 가능한 7가지 청년 지원금을 한 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✅ 대상별 신청 조건
✅ 금액과 지원 형태
✅ 실제 신청 사이트까지 확실하고 빠르게 확인해보세요!

1️⃣ 청년도약계좌 (2024년형 개편)
2024년에도 청년이라면 누구나 노려야 할 장기 자산형성 대표 제도입니다.
정부 지원 + 은행 이자 + 비과세 혜택까지 한 번에!
- 지원 내용: 매월 70만 원까지 납입,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 수령
- 지원 기간: 5년
- 가입 조건: 만 19~34세 이하,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- 정부 기여금: 최대 월 40만 원
2️⃣ 청년내일저축계좌 (취업 취약계층 전용)
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이라면 3년 뒤 최대 1,440만 원 자산 마련이 가능합니다.
- 지원 대상: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근로 청년
- 지원 내용: 매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30만 원 추가 적립
- 지급 조건: 3년간 근로 유지 + 교육 이수 +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

3️⃣ 청년 월세 지원 (국토교통부)
자취 중인 무주택 청년이라면 매달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월세 특별지원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9~34세 이하 무주택 청년
- 소득 조건: 중위소득 60% 이하 (1인 기준 약 123만 원)
- 지원 내용: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간 지원
- 기준 지역: 수도권·광역시 포함 전국
4️⃣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지원 (버팀목 전세자금대출)
자산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최대 1억 원까지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대출 한도: 수도권 최대 1억 원
- 이자율: 연 1.2%~2.1% (소득 및 보증금에 따라 차등)
- 지원 대상: 무주택 청년세대 (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)

5️⃣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(청년도전지원사업)
취업을 준비 중인 미취업 청년에게 6개월간 월 최대 50만 원의 구직활동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8~34세, 최근 2년 이내 졸업(중퇴)한 미취업자
- 지원 내용: 월 50만 원 × 6개월 = 총 300만 원 지원
- 부가 서비스: 취업 상담, 직무 교육, 멘토링 등도 무료 제공
6️⃣ 청년 취업장려금 (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용)
중소기업에 첫 취업한 청년을 대상으로 3년간 최대 1,200만 원까지 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내용: 매년 400만 원 × 3년 지급
- 지원 대상: 만 15~34세 이하의 청년 근로자
- 기업 조건: 고용보험 가입 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

7️⃣ 청년 농업인·귀촌 창업 지원
농촌으로 돌아가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최대 3억 원의 창업 자금과 월 100만 원 정착지원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8세~만 40세 미만의 귀농·귀촌 청년
- 창업자금: 시설비, 장비구입비 등 최대 3억 원 대출 (연 2%, 5년 거치 10년 상환)
- 정착지원금: 월 최대 100만 원 × 최대 3년간 지원
- 교육: 귀농 창업 기본교육 이수 필수
※ 해당 제도는 매년 상·하반기 모집 공고를 통해 선발되며, 신청 전 지역별 농업기술센터 또는 귀농센터 상담을 권장합니다.

8️⃣ 청년 문화·생활 바우처 지원
소득이 낮은 청년에게 문화생활, 여가, 스포츠 활동비를 지원하는 청년 바우처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9~34세 이하,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청년
- 지원 금액: 연간 14만 원 상당의 문화누리카드 지급
- 사용처: 영화, 공연, 도서, 전시관람, 스포츠 관람, 여행 등
- 신청 방법: 문화누리카드 공식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
※ 사용처는 매년 확대 중이며, 문화·예술·체육·여행 관련 제휴처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✅ 마무리 요약: 지금 신청 가능한 청년 혜택 총정리
2024년 현재, 청년이라면 누구나 노려야 할 8가지 혜택을 정리해드렸습니다.
- ✅ 청년도약계좌
- ✅ 청년내일저축계좌
- ✅ 청년 월세 지원
- ✅ 전세자금 대출
- ✅ 구직활동지원금
- ✅ 청년취업장려금
- ✅ 청년 농업 창업지원
- ✅ 청년 문화바우처
각 제도는 지원 대상 및 소득 기준이 다르므로 꼭 조건 확인 후 신청하시고,
주민센터, 고용센터, 정부24, 복지로를 통해 정확한 안내를 받아보세요.
👉 함께 보면 좋은 관련 글:
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 완전 정리
2025 전기요금 할인 제도 총정리